유튜브 바로가기 만들기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유튜브, 유튜브뮤직을 매일마다 이용하다보니, 편하게 이용하려고 합니다.
모바일은 앱이 있어, 따로 바로가기가 필요없지만, PC는 브라우저를 열고 들어가야 합니다. 더 편하게 이용하고 싶다면 바로가기를 만들면 됩니다.
유튜브 바로가기 만들기
바로가기 만드는 방법은 2가지로, 바탕화면에서 바로가기 만들기를 통해 만들 수 있고, 이용하는 브라우저를 통해 만들 수 있습니다.
개인적으로 이용하는 브라우저로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. 이유는 바로가기 아이콘이 유튜브, 유튜브뮤직 아이콘으로 표시되어 바로 알 ㅅ ㅜ있습니다.
바로가기

보통 바로가기를 만들 때, 바탕화면에서 오른쪽 클릭해서 새로 만들기 → 바로가기 클릭해서 사이트 주소 입력하고, 이름 입력해서 만듭니다.

이 방식으로 만들어도 되지만, 기본 브라우저의 아이콘으로 바로가기 생성됩니다. 다 똑같은 아이콘으로 되어 있다보니, 아이콘이 아닌 이름을 보고 열어야되서 은근 불편함이 있습니다.
브라우저

- 크롬 : 더보기 → 도구 더보기 → 바로가기 만들기 → 유튜브 또는 유튜브 뮤직 설치
- 네이버웨일 : 더보기 → 기타 → 바로가기 만들기 → 유튜브 또는 유튜브 뮤직 설치
본인이 평소에 사용하는 브라우저로 들어가서, 유튜브 또는 유튜브 뮤직으로 들어갑니다. 엣지는 더보기를 누른 뒤, 앱 → 유튜브 설치 / 유튜브 뮤직 설치 누르시면 됩니다.

유튜브는 이런 형식으로 열리며, 엣지의 경우 바로가기 아이콘 생성 체크하면 바탕화면에 아이콘 생성됩니다. 그리고 작업표시줄에 고정해서도 가능합니다.

유튜브 뮤직도 역시 유튜브와 동일하게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으며, 작업표시줄 고정 가능합니다. 바로가기 만든 브라우저로 열리는 것이지만, 하나의 프로그램(앱)이기 때문에 작업표시줄에 고정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, 일반 브라우저처럼 열리지 않아 단독으로 사용 가능합니다.
그리고 한 번 로그인을 하면 직접 로그아웃 또는 쿠키 삭제하지 않는 이상 바로 로그인된 상태로 열려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✅ 마이크로소프트스토어 앱 설치 및 삭제, 저장위치 변경 방법
브라우저로 만든 바로가기는 앱으로 설치된 것이라 아이콘을 삭제해도 남아 있습니다. 삭제는 윈도우 → 앱으로 들어가서 삭제해야 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