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튜브 바로가기 만들기 방법 : 유튜브 뮤직도 포함

거의 하루도 빠짐없이 유튜브를 이용하고 있는데, 스마트폰의 경우 유튜브, 유튜브 뮤직 앱이 있어서 터치 한 번으로 바로 실행해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.

PC에서 사용하려면 먼저 인터넷 브라우저를 열고, 유튜브 또는 유튜브 뮤직 검색해서 열어야 합니다. 물론 즐겨찾기 한다면 클릭 한 번으로 열 수 있지만 그래도 약간 불편합니다. 더 간편하게 PC에서 유튜브와 유튜브 뮤직을 사용하고 싶다면 바로가기를 만들면 됩니다.

바로가기 만들기

보통 바로가기를 만들 때, 바탕화면에서 오른쪽 클릭해서 새로 만들기 → 바로가기 클릭해서 사이트 주소 입력하고, 이름 입력해서 만듭니다.

이 방식으로 만들어도 되지만, 기본 브라우저의 아이콘으로 바로가기 생성됩니다. 다 똑같은 아이콘으로 되어 있다보니, 아이콘이 아닌 이름을 보고 열어야되서 은근 불편함이 있습니다.

이 방식으로 하지 않고, 알려드리는 방법대로 유튜브, 유튜브 뮤직 바로가기를 만든다면 아이콘이 유튜브 또는 유튜브 뮤직 아이콘으로 생성되게 할 수 있으며, 브라우저로 열리는 게 아니라 앱 처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
유튜브 뮤직 / 유튜브 바로가기 만들기

본인이 평소에 사용하는 브라우저로 들어가서, 유튜브 또는 유튜브 뮤직으로 들어갑니다. 엣지는 더보기를 누른 뒤, 앱 → 유튜브 설치 / 유튜브 뮤직 설치 누르시면 됩니다.

  • 크롬 : 더보기 → 도구 더보기 → 바로가기 만들기 → 유튜브 또는 유튜브 뮤직 설치
  • 네이버웨일 : 더보기 → 기타 → 바로가기 만들기 → 유튜브 또는 유튜브 뮤직 설치

유튜브는 이런 형식으로 열리며, 엣지의 경우 바로가기 아이콘 생성 체크하면 바탕화면에 아이콘 생성됩니다. 그리고 작업표시줄에 고정해서도 가능합니다.

유튜브 뮤직도 역시 유튜브와 동일하게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으며, 작업표시줄 고정 가능합니다.

바로가기 만든 브라우저로 열리는 것이지만, 하나의 프로그램(앱)이기 때문에 작업표시줄에 고정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, 일반 브라우저처럼 열리지 않아 단독으로 사용 가능합니다. 한 번 로그인을 하면 직접 로그아웃 또는 쿠키 삭제하지 않는 이상 바로 로그인된 상태로 열려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바로가기 설정하면, 바탕화면에 유튜브 뮤직, 유튜브 바로가기 아이콘이 생성되는데, 설정된 기본 브라우저의 아이콘이 아닌 유튜브/유튜브뮤직 아이콘으로 생성됩니다. 평소에 하던대로 만드는 것보다 아이콘으로 바로 알 수 있어서 편하게 열 수 있습니다.

바로가기 만든 유튜브, 유튜브 뮤직은 앱으로 설치 되기 때문에 삭제할 땐 제어판 – 프로그램 추가/제거가 아닌 윈도우 설정 – 앱으로 가서 삭제하셔야 합니다.

다른 글 보러가기